평산아빠의 Life log

[3G 절약하기 노하우] 스마트폰 무선 데이터 절약하기 본문

노하우/컴퓨터,스마트폰,IT

[3G 절약하기 노하우] 스마트폰 무선 데이터 절약하기

평산아빠
반응형

35요금제를 사용하시는 스마트폰 유저분들(LG U+ 가입자 제외)은 100메가라는 적은 데이터 용량 때문에 언제나 무선 데이터 사용에 있어 고민일 것 입니다.

그래서 조금이나마 데이터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드리고자 이 포스팅을 하게 됐습니다.

무선 데이터를 절약하는 방법의 주요 골자는

1. 자동 업데이트 해제

2. 동기화 해제

3. 위치 지정 해제

4. 이메일의 비밀번호 올바른 입력

입니다.

1. 자동 업데이트를 하지 않는 방법

마켓에서 오른쪽 부분의 "내 어플리케이션" 버튼을 누르면 내가 설치한 어플들이 쭉 나옵니다.

그 중 어플을 하나 눌러보면 아래 그림처럼 "자동업데이트 허용"란이 있습니다.

그 부분에 체크하게 되면 업데이트가 있을 때 자동으로 업데이트 되기 때문에 자신도 모르게 데이터 사용량이 늘어나게 됩니다.

그러니 꼭! "자동업데이트 허용"란은 체크하시면 안됩니다.

 



두번째로 날씨 어플의 자동 업데이트를 해제합니다.

날씨어플을 실행시키고 아래 그림처럼 "새로고침 설정"에 가서 자동 새로고침을 해제합니다.




2. 동기화 해제

동기화라는 것은 양쪽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는 뜻입니다.

한 예로 구글캘린더와 스마트폰의 캘린더 어플을 동기화하면 내 PC에서 구글 캘린더를 통해 작성한 스케쥴이 스마트폰의 캘린더에도 똑같이 볼 수 있다는 뜻입니다.


이렇게되는 과정에서 당연히 데이터사용이 발생합니다.

자, 우선 아래 그림처럼 설정 - 계정 및 동기화의 자동 동기화를 해제합니다.



구글캘린더와 동기화되는 캘린더를 사용하고 있다면 (Jorte, LG의 기본 캘린더 등) 자체 캘린더만을 사용합니다.

Jorte 자체 캘린더만 사용하기

아래 그림처럼 옵션 - 캘린더 선택을 누릅니다.




Jorte캘린더를 선택합니다.




LG 기본 캘린더 동기화 해제하기

설정버튼을 누르고 "캘린더"를 선택합니다.

아래 그림처럼 눈모양을 눌러 구글과의 동기화 그리고 대한민국 기념일 등을 해제합니다.



3. 위치 지정 해제 하기

일전에 스마트폰을 가지고 해외에 나가면 데이터 요금 폭탄을 맞을 수 있다는 기사가 있었는데요.
그 주범 중 하나가 바로 이 위치 지정 데이터를 수신하기 때문입니다.

아래 그림처럼 설정 - 위치 및 보안 에 들어가셔서 "무선 네트워크 사용"을 해제합니다.



그리고 네이버 어플을 실행한 뒤 왼쪽 하단의 설정 버튼을 누릅니다.

 



그러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위치 기반 검색"의 체크를 해제해 줍니다.
(참고로 그림은 체크가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자, 이번엔 카메라 어플을 실행시킵니다.

설정 버튼을 누르고 아래 그림처럼 "위치 정보 표기"로 갑니다.

그리고 "해제"에 체크를 합니다.

(다른 통신사의 스마트폰들도 모양이 다를 뿐 이런 기능이 있으니 찾아서 해제합니다.)

해외에 나갔을 때 스마트폰으로 카메라만 사용했는데 데이터 요금 폭탄을 맞는 경우가 바로 카메라를 찍으며 그 위치를 수신하기 때문입니다.





4. 이메일 비밀번호 체크하기

스마트폰으로 이메일을 이용할 때 비밀번호를 잘못 입력하면 보내고자 하는 메일을 무한 반복하며 계속 보내서 데이터를 소비합니다.

그러니 비밀번호 입력에 유의 하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35요금제 사용자를 위한 데이터 사용량을 절약하는 방법이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세팅을 하면 아무래도 스마트폰 본연의 편리한 기능들을 많이 사용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니 카카오톡과 인터넷 검색 정도로 스마트폰을 사용한다면 이 방법을 사용하시는게 좋고

더 많은 기능과 편리함을 원한다면 요금제를 바꾸길 추천합니다.
반응형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