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스탯분석
- ufc 단신
- 스탯랭킹
- 매치메이킹
- 마이클 비스핑
- UFC매치업뉴스
- ufc대진표
- 공무원의 일상
- 관악맛집
- UFC
- UFC매치업
- MMA단신
- UFC감상후기
- 청림동
- 최두호
- 호르헤_마스비달
- 정찬성
- 스마트폰사용기
- 스마트폰
- 코너_맥그리거
- 김동현
- MMA
- UFC단신
- 관악구청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공무원
- 더스틴_포이리에
- 프란시스_은가누
- ufc인터뷰
- UFC매치메이킹
- Today
- Total
평산아빠의 Life log
경기력 향상 약물(PED)의 종류와 특성 본문
※ 개인적으로 의학지식이 전무한 상황에서 블러디엘보우의 기사를 중심으로 다수 웹사이트를 참조해 만들었으니 이점 감안해주시기 바랍니다.^^
볼데논(Boldenone)
- 체내 질소축적율을 높여주어 근육의 질을 좋게 하며 적혈구 생성을 돕고 신장의 기능을 활성화하여 훈련량을 쉽게 늘일수있다. 즉, 훈련시 회복이 빨라 더 많은 훈련을 할 수 있게 돕고 같은 시간 훈련을 해도 더 좋은 근육을 손쉽게 얻을 수 있게된다.
PED 이용 선수 : 조쉬 바넷, 스테판 보너, 필 바로니, 안토니오 실바 등
난드롤론(Nandrolone)
- 볼데논과 비슷하게 근육의 성장을 촉진시키고 적혈구의 생성을 도와줌. 그러나 이 스테로이드는 골밀도를 높여주는 기능까지 함.
이 스테로이드의 부작용은 황색혈청호르몬(테스토스테론을 만드는 역활)의 수치를 떨어트리는 것으로 TRT요법을 사용하는 파이터는 그 전에 난드롤론의 부작용 여파일 확률이 높다.
PED 이용 선수 : 조쉬 바넷, 스테판 보너, 네이트 마쿼트, 파웰 나스툴라, 호이스 그레이시, 션 셔크, 데니스 홀맨, 조이 벨트란 등
플루옥시메스테론(Fluoxymesterone)
- 골격근의 양을 늘려주는 역할을 한다. 골격근은 뼈에 붙어있거나 힘줄을 통해 뼈와 붙어 있는 근육으로 실제 움직임을 제어하는 근육이다. 그러하기에 골격근이 발달하면 좀 더 다양한 각도로 움직일 수 있고 또한 더욱 다양한 각도에서 더욱 강한 힘을 낼 수 있게 된다.
또한 린근육(잔근육)발달을 돕는다.
PED 이용 선수 : 조쉬 바넷
스타노조롤(Stanozolol)
- 육상스타 벤 존슨이 걸려 유명해진 근육강화제로 최근엔 사이보그가 걸려 더욱 유명세를 떨친 스테이로드입니다.
지방을 줄여주고 적혈구 형성을 도우며 근육을 증가 및 강화시키는 근육 강화제로 기존의 아나볼릭 제제의 효과를 모두 보여준다.
특히나 2개월이면 효과를 보기 때문에 많은 스포츠선수들이 사용했지만 마스킹이 어려워 현재는 잘 사용하지 않는 약물이라고 한다.
PED 이용 선수 : 팀 실비아, 키모 레오폴드, 필 바로니, 크리스 리벤, 비니셔스 퀘이로즈, 크리스티안 "사이보그" 산토스, 하파엘 카발칸테 등
4-히드록시테스토스테론(4-Hydroxytestosterone)
- 아나볼릭 스테로이드의 일종으로 항 에스트로겐 작용을하고 반감기가 짧은 특징을 가지고 있음
PED 이용 선수 : 비토 벨포트
드로스타놀론(Drostanolone)
- 이 스테로이드는 근육강화, 식욕증진, 골격강화 등의 효과가 있지만 더욱 중요한 효과는 근육량을 잃지 않고 힘을 유지시켜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는데 있다. 체급을 낮출 때 효과적인 스테로이드. 스테판 보너가 앤더슨 실바전 급오퍼를 받고 이 스테로이드를 사용했던 이유가 갑작스레 감량하면서 힘을 잃지 않기 위해서 였음.
PED 이용 선수 : 헤르메스 프랑카, 데니스 홀맨, 조쉬 바넷, 킹모, 스테판 보너
19-노런드로스테론(19-Norandrosterone)
- 아나볼릭제제의 일종
도핑테스트 몇시간 안에는 거세되지 않은 돼지의 내장이 들어간 음식을 피해야한다. 바로 이 스테로이드가 검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PED 이용 선수 : 켄 샴락
이뇨제
- 이뇨제의 기능은 두가지이다. 감량을 돕고 도핑테스트로 제출될 오줌을 희석시켜 약물을 마스킹(은폐)하는 것이다.
PED 이용 선수 : 티아고 알베스
각성제(펜터민, 아드라피닐)
- 펜터민은 드로스타놀론과 비슷한 기능을 하여 감량을 돕는다.
- 아드라피닐은 카페인과 비슷한 기능을 하며 각성과 피로회복에 도움을 준다.
이 두약물은 합법적으로 약국에서 파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금지약물리스트로 규정하고 있다.
마리화나
- PED인지에 대한 결론이 안났다.
PED 이용 선수 : 닉 디아즈, 디에고 산체스 등 다수
EPO
- 근육지구력강화약물, 산소공급을 원활하게 해주는 적혈구 생성을 촉진시킨다. 체내에서 생성되는 EPO와 구별이 어려워 소변검사로 적발하기 어려운 PED이다.
UFC는 소변검사만 하기에 EPO를 적발하기는 정말 어렵다.
EPO는 경기력을 10% 이상 향상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너무 많이 복용하게 되면 심장마비로 사망에 이를 수 있는 약물이며 실제로 EPO가 사용되기 시작한 이래 많은 스포츠선수들이 심장마비로 죽었다고 한다.
5라운드를 1라운드같이 뛰는 선수들의 무한체력은 EPO의 효과? ^^;;
'MMA > MMA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UFC 포스터와 승률의 관계 (8) | 2014.03.27 |
---|---|
[평산아빠 랭킹]웰라운드, 테이크다운, 타격 분야 (2014년 3월 : UFN38 기준) (2) | 2014.03.26 |
2013년 가장 논란이 많았던 시합은? (12) | 2014.01.10 |
[평산아빠 랭킹]웰라운드, 테이크다운, 타격 분야 (2014년 1월 : UFN34 기준) (4) | 2014.01.09 |
스트라이킹 페이스 어드밴티지 (0) | 2014.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