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공무원의 일상
- MMA
- 더스틴_포이리에
- UFC매치메이킹
- 최두호
- 스탯분석
- 스마트폰사용기
- 호르헤_마스비달
- 마이클 비스핑
- 스마트폰
- MMA단신
- UFC매치업뉴스
- 스탯랭킹
- UFC매치업
- 코너_맥그리거
- 김동현
- 매치메이킹
- ufc 단신
- UFC단신
- ufc대진표
- UFC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청림동
- 정찬성
- 관악맛집
- ufc인터뷰
- 공무원
- 프란시스_은가누
- 관악구청
- UFC감상후기
- Today
- Total
목록UFC분석 (6)
평산아빠의 Life log

UFC 257 댄 후커 VS 마이클 챈들러 분석입니다. 원래는 분석할 시합은 아니었는데 유투브 좀 키워보려고 컨텐츠를 고민하다 잠을 줄이며 만들었네요. ^^;; (생각보다 유투브를 키우는게 쉽지 않군요. 예전엔 올리면 그래도 조회수가 몇천은 갔는데 요즘은 MMA 컨텐츠가 많아서 그런지 500도 안나오는군요. ㅡ,,ㅡ) 구독, 좋아요 ... ^^;; 블로그 버전은 오늘 저녁쯤 정리해서 공개하겠습니다.

프로필 & 전적 1. 켈빈 케이터 타격 분석 가. UFC 최고의 잽을 가진 선수 중 하나인 켈빈 케이터 - 켈빈 케이터는 분명 UFC 최고의 잽을 가진 선수중 한명입니다. 빠르고 간결하고 정확하고 타이밍도 좋죠. 그런데 거기에 체급 내 가장 큰 그룹에 속하는 좋은 키와 리치가 시너지효과를 내고 있습니다. 그래서 케이터보다 작은 선수들과의 시합을 보면 상대의 인사이드로 들어가 브롤링을 즐기는 댄 이게마저도 들어가지 못하고 사이드와 백스텝만 밟다가 활로를 못찾고 무력하게 패했고 라마스는 킥타이밍이나 테이크다운 거리를 만들어내지 못하죠. 그리고 체격이 비슷한 압박형 파이터인 쉐인 버고스나 제레미 스티븐스는 정면에서 케이터의 잽을 뚫고 들어가 자신의 거리를 만들려 했지만 결국 잽으로 깔아놓은 셋업에 이은 원,투..

1. 75번의 레그킥을 허용한 맥스 할로웨이 - 제레미 스티븐스에게 24번의 레그킥을 허용한게 최대치였던 맥스 할로웨이는 볼카노프스키전 75번의 레그킥을 허용했습니다. 볼카노프스키는 헨리 세후도가 도미닉 크루즈를 잡을 수 있었던 일등공신인 각을 먹으려 사이드로 움직이는 것을 아웃사이드 뒷발 레그킥으로 강력하게 커트해냈던 기술을 할로웨이에게 똑같이 적용했고, 정면에서는 가벼운 인사이드 레그킥으로 할로웨이의 타이밍을 끊었습니다. 또한 할로웨이의 조제 알도전 레그킥 대응 방식처럼 킥을 견디고 그대로 밀고 들어와 연타를 날리려 했지만 오히려 볼카노프스키의 강력한 카운터 대응에 막혔죠. 이외에도 핸드파이팅과 펀치페인트와 연계된 다양한 레그킥들을 선보이며 할로웨이가 그냥 보고 당하게 만들었습니다. 볼카노프스키는 토..

레그킥 VS 카운터 - 댄 후커의 출발은 칼프킥입니다. 원거리에서 칼프킥으로 상대의 기동력을 떨어트려놓으며 상대의 스피드 어드밴티지를 죽이고 자신의 신장/리치 어드밴티지를 살리며 게임을 주도해 갑니다. 반면 더스틴 포이리에는 짐 밀러전 칼프킥에 크게 고생한 적이 있죠. 문제는 더스틴 포이리에가 사우스포라는 점입니다. 서로 반대 스탠스에서 후커가 칼프킥을 쓰기는 매우 어렵고 스위칭 리드킥으로 칼프킥을 써도 위력은 뒷발로 찰 때보다 현저히 떨어지죠. 반면 후커는 스위칭에도 능한 선수입니다. 과연 칼프킥을 쓰기 위해 스위칭을 할지 관전포인트입니다. 만약 오소독스로 선다면 후커의 레그킥은 인사이드 레그킥이 위력적입니다. 역시나 칼프킥과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죠. 하지만 인사이드 레그킥은 칼프킥에 비해 카운터를..

프로필 & 전적 1. 진화된 블레이즈의 타격 능력 - 커티스 블레이즈의 타격 발전 속도가 눈부십니다. 지금은 프란시스 은가누와의 1차전 때의 블레이즈가 과연 지금의 블레이즈와 같은 선수인지 의심이 들 정도로 완전히 다른 타격 능력을 갖추게 되었죠. 비록 주니어 도스 산토스를 넉아웃시킨 것은 먼저 테이크다운으로 셋업을 해놨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 이전 보여준 주니어 도스 산토스를 상대로한 타격 능력은 매우 인상적이었습니다. 한시도 쉬지 않고 계속 앞뒤, 좌우, 상하로 움직이거나 페인트를 주며 상대의 거리와 타이밍 센스를 망가트리는 부지런한 움직임도 인상적이지만 스탠스 스위칭 능력이 정점에 다다른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계속 거리와 각을 바꾸고 상대를 컷오프하며 스위칭과 동시에 자연스럽게 공격으로 이어지는 ..

3. 저스틴 게이치의 시그니처 무브는 통할까? 가. 레그킥 - 게이치의 시그니처는 누가 뭐래도 럼버잭 레그킥이죠. 그는 지금껏 UFC에서 6경기 동안 143번의 레그킥을 성공시키면서도 성공율이 87.7%로 엄청난 스탯을 기록하고 있죠. 게다가 파워도 어마어마합니다. 정확도, 파워, 볼륨을 모두 갖춘 엄청난 레크킥커가 게이치입니다. 또한 자신의 타격 비중의 35%를 레그킥이 차지하는 라이트급 레그킥의 비중이 가장 높은 선수입니다. 문제는 퍼거슨이 가지고 있는 스탯입니다. 일견 퍼거슨이 레그킥을 잘 허용하는 선수로 보입니다. 실제로 그의 레그킥 허용율은 78.3%(코너 맥그리거 63.8%)로 인상적이지 않죠. 하지만 그는 라운드당 평균 3번 정도의 레그킥을 허용하고 있고 한라운드 가장 많은 레그킥을 허용한게..